카카오톡 결국 첫 화면 ‘친구 목록’ 복귀 결정|이용자 반발에 빠른 조정

카카오톡이 최근 강행했던 피드형 친구 탭 개편을 불과 며칠 만에 철회하고, 기존의 ‘친구 목록’ 화면으로 되돌아가기로 했다. 이용자들의 강한 반발이 앱스토어 평점과 커뮤니티 여론으로 이어지자, 카카오는 빠른 조정을 택하며 메신저 본질을 다시 강조했다.


카카오톡, 6일 만에 개편 철회

카카오톡은 지난 9월 23일, 메신저 첫 화면인 친구 탭을 피드형 구조로 개편했다. 기존에는 전화번호 기반으로 친구 목록이 단순하게 나열되었지만, 새 업데이트에서는 이용자의 프로필 변경, 게시물, 활동 내역이 피드처럼 표시됐다.

그러나 변화 직후부터 불만이 폭발했다.

  • 원치 않는 지인 게시물이 강제로 노출됨
  • 광고 노출 빈도가 높아졌다는 지적
  • 메신저 본연의 단순성과 직관성이 훼손됨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는 1점 리뷰가 급격히 늘었고, 커뮤니티에는 “카톡 본질이 사라졌다”는 비판 글이 이어졌다. 결국 카카오는 개편 시행 6일 만에 ‘친구 목록’ 화면을 기본값으로 복귀시키겠다고 발표했다.


다시 기본값은 친구 목록, 피드형은 선택

이번 조치는 단순한 회귀가 아니라 선택적 구조로 재편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기본 화면은 기존처럼 ‘친구 목록’으로 설정되며, 피드형 콘텐츠는 별도 ‘소식’ 탭으로 분리된다. 이용자는 필요할 때만 선택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이 방식은 메신저 본질을 유지하면서도, 카카오가 추진해 온 콘텐츠·광고 노출 구조를 완전히 버리지 않고 최소한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절충안으로 해석된다.


왜 피드형 개편이 실패했나

카카오톡의 피드형 개편은 단순 UI 변화가 아니라 수익 모델 강화 전략으로 분석된다. 피드 구조는 스크롤 중간에 광고를 배치하거나, AI 기반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하기에 유리하다. 카카오는 이를 통해 메신저 안에서 소셜미디어 기능을 확장하고자 했다.

그러나 문제는 이용자 관점이었다. 메신저는 단순하고 신속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사용되는데, 여기에 피드형 콘텐츠가 추가되면서 본질이 훼손됐다. 결과적으로 광고 중심 구조라는 비판이 커지며 반발을 자초했다.


카카오 입장과 향후 계획

카카오는 “이번 결정은 전면 철회가 아니라 조정”이라고 설명했다. 기본 화면을 원래대로 돌리되, 피드형 요소는 보조 기능으로 남겨둘 계획이다. 향후 업데이트는 2025년 4분기 중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며, 안드로이드·iOS 환경에 따라 배포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청소년 보호와 관련한 문제도 함께 거론됐다. 피드 구조 내 숏폼 콘텐츠 노출이 증가하면서 미성년자 보호 필요성이 지적됐고, 카카오는 보호 신청 메뉴 신설과 접근성 강화를 검토 중이다.


이용자가 알아야 할 포인트

  1. 기본 첫 화면은 ‘친구 목록’으로 복귀
  2. 피드형 콘텐츠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선택 메뉴로 이동
  3. 업데이트 일정은 OS, 기기별로 차이가 발생 가능
  4. 환경 설정 메뉴에서 탭 구성을 직접 확인할 필요 있음

카카오톡 이용자 반응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다행이다”, “메신저는 본질에 충실해야 한다”는 반응이 많았다. 반면 일부는 “카카오가 결국 광고를 포기하지 못할 것”이라며 장기적으로는 유사 개편이 반복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놨다.

이는 단순 기능 변화가 아니라 플랫폼 방향성에 대한 이용자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어, 카카오 입장에서는 이미지 관리가 중요한 과제가 될 전망이다.


결론

카카오톡의 첫 화면 복귀 결정은 이용자 목소리에 귀 기울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다만 피드형 콘텐츠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유지한다는 점에서, 향후 또 다른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앞으로 카카오는 이용자 경험과 광고 수익 모델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이번 사건은 “메신저는 본질이 우선”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됐다.

댓글 남기기